본문 바로가기

답사 관련12

제4·9회 '함께 걷는 주말답사' 익선동 관련 박녹주 표지판 재설치 요청사항을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함께 걷는 주말답사’ 답사지기 최수윤입니다. 제4·9회 ‘함께 걷는 주말답사’ 답사지 익선동과 관련 태극사상연구소에서는 제4회(2024. 4. 20.) 답사에서는 '명창 박녹주가 기거했던 집 앞 표지판(이하 “박녹주 표지판”이라 함)'을 보며, 박녹주의 삶을 얘기하며 생동감 있는 현장 답사를 하였으나, 제9회(2024. 9. 21.)에서는 아쉽게도 해당 건물이 리모델링되며 동 박녹주 표지판이 제거된 것을 확인하며 소중한 관광·문화자원 관리의 아쉬움을 느꼈습니다. 이에 태극사상연구소에서는 소중한 문화자원에 대한 주민들의 의식 전환 및 유사사례 방지를 위해 서울시 종로구에 박녹주 표지판 재설치 및 관리방안 마련을 다음과 같이 요청했습니다.  향후 서울시 종로구에서 검토결과가 회신되면 공유하겠습.. 2024. 10. 10.
제2·5회 '함께 걷는 주말답사' 북촌 복정(우물) 시설개선 요청 처리사항입니다. 안녕하세요. ‘함께 걷는 주말답사’  답사지기 최수윤입니다. 제2·5회 ‘함께 걷는 주말답사’ 답사지 북촌 복정(우물)과 관련 태극사상연구소에서는 서울 북촌 복정은 조선시대 궁에서 쓰던 우물로 이 우물의 물을 마시면 복이 와 병이 낫는다고 알려졌고, 1900년대 중반까지 58년 동안 홀로 남아 우물을 지켰던 우물할머니 정은성님의 감동 깊은 이야기도 전해지고 있음에도 안내표지판이 이에 대해 충분히 설명을 하고 있지 못하여 2024년 6월 6일 강연회에서 참여자분께 설명과 함께 연명서를 작성하여 서울시 종로구청에 시설개선 등을 요청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2024년 6월 28일 서울시 종로구청에서는 우물할머니 정은성님의 이야기에 대해서는 사실관계를 조사하여 안내표지판을 개선 검토하겠으며, 우물물 음용에.. 2024. 7. 4.
제1회 '함께 걷는 주말답사(서촌)' 통의동 백송터 처리사항 입니다. 안녕하세요. 주말답사 카페의 답사지기 최수윤입니다. 제1회 ‘함께 걷는 주말답사’ 답사지 중 통의동 백송터에 대해 태극사상연구소에서 서울시 종로구에 문화재 관리를 요청한 사항에 대한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2024년 1월 6일 사전답사 시 조선 영조가 연잉군시절 생모 숙빈최씨와 살던 곳(창의궁)이 있던, 역사가 깃든 통의동 백송터를 경유하던 중 역사적 유적지 관리가 부실함을 안타깝게 생각하며 알아본 결과, 개인보다는 5명 이상의 연명을 통해 정식으로 민원을 제기하면 관리하는 부서가 좀 더 신중하게 검토한다는 정보가 확인되어 2024년 1월 13일 주말답사 참여자분께 설명을 드렸고, 참여자분 모두 흔쾌히 동의하여 연명서를 작성 서울시 종로구청에 정식으로 관리를 요청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2024년 3월 24.. 2024. 3. 14.
[서촌답사] 통의동 백송과 백송 할머니 홍기옥 통의동 백송의 얘기를 읽다보면, 홍기옥 할머니 같은 분들이 역사를 만들어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 ​ ㅇ 통의동 백송이 1990년 폭풍에 쓰러지기 전 모습을 볼 수 있는 언론기사 ​ https://news.nate.com/view/20211030n15446 [역사 속 공간] 통의동 백송은 뉘 집 나무였나? : 네이트 뉴스 한눈에 보는 오늘 : 사회 - 뉴스 : 서울 종로구 옛 천연기념물 백송 터 둘러싼 논란김정희 옛집으로 알려졌으나, 영조 사저로 확인 창의궁은 그 어떤 곳인가/ 어의궁과 같다고 어찌 감히 견줄까/ news.nate.com ​ ㅇ 1990년 이후의 사정과 관련 사진을 전하는 언론기사 ​ https://m.monthly.chosun.com/client/mdaily/daily_view.. 2024. 3. 12.
이중섭이 서촌에서 그린 그림, 길 떠나는 가족 ​ ​ ​ 이중섭이 서촌에 머물며 미도파화랑에서 열릴 개인전을 준비하던 기간에 그린 그림, '길 떠나는 가족'입니다. 이 기간에 이중섭은 아침에 일어나 인왕산 계곡에서 목욕을 한 후 그림을 그렸다고 합니다. ​ 이중섭은 이 그림을 아래와 같이 아들에게 보내는 엽서에도 그려넣고 설명을 보탰습니다. ​ “태현에게, 나의 태현아 건강하겠지, 너희 친구들도 모두 건강하니? 아빠도 건강하다. 아빠는 전람회 준비에 몰두하고 있다. 아빠가 엄마, 태성이 태현이를 소달구지에 태우고 아빠가 앞에서 황소를 끌고 따뜻한 남쪽 나라로 함께 가는 그림을 그렸다. 그만 몸 성해라.” ​ ​ ​ 아래 기사에서는 이 그림과 이중섭의 대표작 '황소' 그림에 얽힌 사연을 전하고 있습니다. 이중섭이 가족을 그린 이 그림을 얼마나 소중하게.. 2024. 1. 16.
조선의 아방궁 벽수산장과 박노수 가옥 ​ 친일파 윤덕영이 세운 벽수산장(당시에 '조선의 아방궁'으로 칭해짐)과 박노수 가옥 ​ ​ 1966년 벽수산장 화재 ​ ​ 화재로 폐허가 된 모습 ​ ​ ​ 2024. 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