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99

하루에 배우는 주역 인문학 (원데이 클래스) 특강 안내 하루에 배우는 《주역》 인문학 강의 정보:강의명: 하루에 배우는 주역 인문학 (원데이 클래스)일 시: 2019년 2월 9일 토요일 오후 2시 ~ 4시 (2시간)장 소: 토즈 강남컨퍼런스점 세미나실 (말미의 약도 참조)수강인원: 25명 강사 소개:강병국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사법학과 졸업서강대학교 사학과 박사과정 수료동양학연구소 소장《주역독해》 저자SBS아카데미, 영풍문고, 알라딘, 서울벤처협회, 서울열린인문학, 마포평생학습관, 빨간책방, 파스텔배움 등 강연 다수. 강의 소개:나는 지금 제대로 가고 있는 걸까?인생길은 가보지 않은 길을 걷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 길을 잘 걷도록 도와주는 지침서는 있습니다. 《주역》이 바로 그 지침서입니다. 주역에 따르면 사람이 인생의 굽이굽이에서 마주치는 길에는 64가지 종류.. 2019. 1. 15.
노자 도덕경 - 함석헌 선생의 한글 풀이 노자 도덕경 - 함석헌 선생의 한글 풀이 아래 텍스트의 출처는 ‘바보새 함석헌’ 홈페이지(http://ssialsori.net/)의 자료실입니다.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sialsori.net/bbs/board.php?bo_table=0403&wr_id=87&page=1 http://ssialsori.net/bbs/board.php?bo_table=0403&wr_id=88&page=1 1장 길 길할 수 있으면 늘 길 아니요 이름 이름할 수 있으면 늘 이름 아니라 이름 없음이 하늘 땅의 비롯이요(없음을 이름하야 하늘 땅의 비롯이라 하고) 이름 있음이 모든 것의 어미다.(있음을 이름하야 모든 것의 어미라 한다.) 그러므로 늘 하고저함 없이 써 그 아득함을 보고(늘 없음은 써 그 아득을 보고저.. 2018. 12. 31.
왕필王弼 노자주老子注 원문(한문) 텍스트 ※ 아래 한문 텍스트는 https://zh.wikisource.org/wiki/道德經_(王弼本) 의 수록 내용을 재정리한 것입니다. 老子《道德經》上篇 華亭張氏原本晉 王弼注 一章 道可道、非常道,名可名、非常名;〈 可道之道,可名之名,指事造形。非其常也,故不可道、不可名也。〉無名天地之始,有名萬物之母。〈凡有皆始於無,故「未形」、「無名」之時則為萬物之始。及其「有形」、「有名」之時,則長之育之,亭之毒之,為其母也。言道以無形無名始成萬物,以始以成而不知其所以,玄之又玄也。〉故常無欲、以觀其妙,〈妙者,微之極也。萬物始於微而後成,始於無而後生。故常無欲空虛,可以觀其始物之妙。〉常有欲、以觀其徼;〈徼,歸終也。凡有之為利,必以無為用。欲之所本,適道而後濟。故常有欲,可以觀其終物之徼也。〉此兩者、同出而異名,同謂之玄、玄之又玄、眾妙之門。〈兩者,始與母也。同出者,同出於玄.. 2018. 12. 24.
팔괘의 의미 글은 말을 다하지 못하고 말은 뜻을 다하지 못한다. 그러한 즉 성인의 뜻 그조차 나타낼 수 없음에랴! (이에) 성인이 상象을 세움으로써 뜻을 다하신 것이다. 書不盡言 言不盡意 然則聖人之意 其不可見乎 聖人 立象以盡意( 12장) 문자언어(글)는 선형적이어서 뚜렷하다. 뚜렷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상象이 담은 뜻을 다 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상象이 담은 뜻을 왜곡해서 가리킬 위험도 있다. 그 때문에 괘상卦象이 중요한 것이다. 괘상을 읽음으로써 괘효사가 다하지 못한 뜻을 읽을 수 있다.아래에서는 8괘의 속성을 문자언어로 풀이하는 시도를 해보았다. 하지만 이렇게 문자언어로 고정시키는 순간 그 즉시 상象이 담은 뜻을 다 담지 못하며, 그 뜻을 왜곡하는 오류에 빠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象은 상象 자체로 보려는 노력.. 2018. 12. 4.
주역 강연 안내 - 새롭게 보는 <주역> 인문학 『주역독해』의 저자 강연이 다음과 같이 개최될 예정이오니 주역에 관심 있는 많은 분들의 참여를 바랍니다. 새롭게 보는 《주역》 인문학 강의 정보| 강의명 새롭게 보는 《주역》 인문학 강사 강병국 작가 기간 2018년 9/18 10/2 10/16 10/23 10/30 11/6 11/13 매주 화요일 저녁 7시 30분~9시 30분(7주 과정) * 9/25, 10/9 휴강입니다. 장소 합정 파스텔배움 강의실(서울특별시 마포구 독막로 27, 빨간책방 3층) 수강 인원 20명 수강료 21만원 강의 소개 《주역》 하면 우선 난해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최신 갑골문 연구 성과를 반영하면 《주역》의 수수께끼들 중 많은 것을 새로이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알기 쉬우면서도 깊이 있는 설명을 제공한다. 주역에 .. 2018. 9. 6.
易(역)자의 어원은? 易(역)자의 어원은 아직까지 명쾌하게 밝혀지지 못한 상태로 있다. 이에 대한 검토는 『한자의 뿌리』(김언종 저, 문학동네)가 가장 상세하므로, 이를 토대로 정리해본다. 첫째, ‘해와 달의 상형설’이 있다. 이는 아래 의 소전小篆에서 勿 부분을 月의 변형으로 보아 해와 달의 상형이라고 설명하는 것이다. 하지만 갑골문, 금문을 보면 맞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易(역)의 자형 변천갑골문甲骨文금문金文소전小篆 둘째, ‘도마뱀’의 상형으로 보는 설이 있다. 도마뱀이 환경에 따라 색깔을 쉽게 바꾸기 때문에 여기서 ‘바꾸다’라는 의미가 나왔다는 설명이다. 『설문해자』가 이러한 견해를 취했기에 그동안 널리 받아들여지기도 했다. 에서 금문金文 이후를 보면 모양이 도마뱀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갑골문을 .. 2018. 8. 16.